지난번 글에서 Synopsys툴에서 입력을 받으려면 세션을 영문으로 들어가야 되는 거라고 글을 올렸는데 어느 블로그를 지나가시는 고수님께서 알려주신 방법이 있으셔서 올려드립니다. ^^ Fedora의 경우 scim을 기본 입력기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을 nabi로 바꾸니 문제가 해결되네요. 어떤 분이신지 모르겠지만 방명록에 글 남겨주신 고수님 감사합니다. ㅜㅜ 세줄로 끝냈습니다.
yum remove scim* yum install nabi reboot
방명록에 남겨주신 글 전문을 옮겨놓습니다.
지나가는이~ synopsys 관련툴(sentaurus_TCAD)을 쓰면서 "blueecho" 님과 같은 증상 (키보드입력불가) 을 겪으면서 이곳저곳 찾아보고 실험해본 결과 리눅스의 한글 입력기의 문제로 밝혀졌습니다. centos4 버전의 경우 영문세션으로의 로그인으로 해결할수있지만 centos5 버전의 경우는 영문세션으로 로그인해도 해결되지않더군요. 알아본결과 4버전에서 쓰이는 한글입력기와 5버전에서 쓰이는 한글입력기가 다르더군요. 5버전에서는 scim이라는 언어입력기를 쓰는데 4버전에서쓰이는 프로그램은 영문세션로그인시 실행이 안되는데반해 scim프로그램은 영문세션으로 로그인해도 프로그램이 실행되서 문제를 발생합니다.
결론은 다른 언어입력기로 해결봤습니다. 제가 쓴 입력기는 'nabi' 인데요, scim이나 4버전의 언어입력기는 한글외에 중국어나 일본어 입력도 쉽게 할수있지만 nabi는 한글전용입력기라 타외국어는 쓸수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뭐... 영어는 쓸수있으니까 여기서 만족해하고 있습니다.
또다른 결론은 nabi 를 쓰시면 한글세션으로 로그인해도 synopsys 툴을 정상적으로 쓰실수있습니다.!!!
페도라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플레이어가 토템플레이어인데 이게 MPEG류의 코덱의 경우 돈을 줘야 되더라구요. -_-;; 그래서 예전에 사용했던 mplayer로 하기로 맘을 먹고 찾아봤더니... 코덱도 따로 깔아야 되더군요. 우선 yum을 이용하기 위해서 repositary에 livna를 추가하고(예전에 올려놨던 자료에 주소가 있습니다.) yum을 이용해서 mplayer와 mplayer-gui를 설치합니다. 설치후 코덱을 깔아야 하는데 주소는 http://www.mplayerhq.hu/design7/news.html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코덱을 받아서 /lib/usr에 풀어놓고, 풀어진 디렉토리를 링크(/lib/usr/win32)를 걸어서 mplayer에서 사용하도록 하게 해줍니다. 자 플레이 해보도록 하죠... --;;
ps. 테스트 영상으로 베토벤 바이러스 틀었다가 한편 다 봤습니다. 한시간 정도 날렸네요. ㅋㅋㅋ
실제 Synopsys에서는 Red hat enterprise만을 지원한다고 나와있지만 같은 계열인 CentOS계열도 마찬가지로 실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IDEC CAD질답게시판 참고) 다만, 게시판에는 CentOS4까지만 지원한다고 합니다. CentOS5의 경우는 키보드 입력을 받지 않는 다는 문제가 발생할때가 많습니다. 이번에 리눅스로 완전전환을 위해서 학교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에 리눅스를 설치하였습니다. 레드햇부터 시작해서 페도라가 익숙한 저로서는 CentOS보다는 Fedora가 나은거 같더군요. (특히 CentOS에서는 realtek 8139인가하는 제 랜카드는 잡질 못하더군요.) 그래서 Fedora8을 설치하게 되었습니다만 마찬가지로 키보드 입력문제가 발생하네요. 이래저래 설치해보고 다른 부분도 확인해 보고 난 결과로 알아낸 것이 synopsys툴들 특히 Astro의 경우는 영문세션에서만 키보드 입력을 받을 수 있더군요. 한글로 설치를 해놓고 Astro실행시에만 영문으로 세션을 바꾸고 사용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혹시나 저처럼 삽질(?)하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글을 올려놔 봅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