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일이름에 대한 *, ?, [ ]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를 처음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으로 시작하는 파일을 포함한 파일도 포함하게 된다.
2. make는 각각의 명령행을 해당 쉘에서 각각 실행하는 형태를 취한다. 그러므로 둘 이상의 연속적인 명령을 사용할때는 ';'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특히 스크립트들...)
cd output;rm * ( 현재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인 output으로 들어가 모든 파일을 지운다.)
또는
cd output;\
rm *
3. 역슬래쉬 대신에 하나의 긴행으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4. cd나 exit와 같은 내장명령들은 단지 자신들이 위치한 행에서만 실행된다. 따라서 make를 중간에 exit로 끝내거나 할 수 없다.
5. 쉘 명령에서 $$표시는 역슬래쉬두개(\\)처럼 동작하게 된다.
6. 프로세스 번호를 표시하는 쉘변수 $$는 쉘명령에서는 $$$$로 표시한다.
7. 명령어 가장 앞에 -를 두면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무시하고 진행한다.
8. 전체적으로 오류를 무시하려면 .IGNORE 타겟을 만들거나 make 실행시 -i옵션으로 실행하면 오류를 무시하게 된다. (가능은하지만 사용을 권하지는 않는다.)
9. -k 옵션 뒤에 있는 것에 대해서는 오류를 무시하게 된다. ( $make -k plot_propt plot_win 의 경우 plot_propt의 오류는 무시하게 된다.)
10. 포팅이 가능한 기술 파일을 작성하기 위해서 기본 쉘인 본쉘을 사용하고 다른 쉘의 특수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본쉘의 명령을 이용하고 기술파일의 첫부분에서 SHELL=/bin/sh 를 정의해 본쉘을 사용하도록 한다.
11. 다른 쉘이나 perl, awk등의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명령의 경우 별도의 파일로 분리하고 기술 파일에서 이를 실행시킨다.,
12. 경로명의 경우 기술파일에 직접 작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프로젝트의 관리차원에서 모든 사용자에게 경로명에 대한 환경변수를 지정후 기술파일에는 지정된 환경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