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eecho's collection

누군가에게 "당신은 무엇을 잘하십니까?"라는 질문을 들었을때 바로 대답할것을 만들어보자~!!
        
분류 전체보기 (267)
NeWs (21)
배움생활 (107)
취미생활 (118)
끄적끄적 (5)
인생설계 (12)
Wish list (4)
연구실 생활 자전거 리눅스 연구실생활 지름신 일본소설 영화감상 Fedora 사진 솔카당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블로그 이동하였습니다.

 

  Unix Tip | 2006. 3. 9. 22:43 | 배움생활/리눅스   
자료출처 : http://www.senun.com/Left/System/Unix/tip.txt

[ UNIX ]


어렵든 비싸든 중요 서버가 유닉스로 돌아가고 있으니
알아 두는 것이 좋겠다. 자료 구하기가 힘들어서 원...


1. 시스템 사양 보기
$ /usr/platform/sun4u/sbin/prtdiag -v | more
$ df -k

2. 하드디스크 용량 보기
$ format
0: 컨트롤러(t0) 하드디스크 1
1: 운영체제(t2) 하드디스크 2

:1 선택
:p 엔터
:p 엔터 4G(하드디스크용량), 4G(백업이미지) --> 실제 4G
:q
:q 끝내기

3. 네트워크 설정
# 호스트네임
$ vi /etc/hosts
150.150.10.70 hongsu2
$ vi /etc/nodename -> hongsu2
$ vi /etc/hostname.hme0 -> hongsu2
$ vi /etc/net/ticlts/hosts -> hongsu2
$ vi /etc/net/ticots/hosts -> hongsu2
$ vi /etc/net/ticltord/hosts -> hongsu2

# 라우터(게이트웨이)
$ vi /etc/defaultrouter -> 150.150.10.9
$ route add default 150.150.10.9 1
$ route del ......

# 도메인네임서버
$ vi /etc/nsswitch.conf -> hosts: files dns
$ vi /etc/resolv.conf
nameserver 10.1.1.5
domain citynet_dns
$ vi /etc/netmask -> 150.150.0.0 255.255.0.0

# 테스팅
$ netstat -nr
$ ping localhost -> alive # 내부 정상

4. 환경변수
$ vi /.profile
$ . ./profile

5. 계정 만들기
5.1 파일을 수정하여 만들기
$ vi /etc/group
hongsu2::110:
$ vi /etc/passwd
hongsu2:x:110:110::/usr/bin/ksh:
$ vi /etc/shadow
hongsu2::6445::::::::
5.2 명령어로 만들기
# 그룹 -g 2000은 존재하는 것으로 해야한다. /etc/password 참조
$ useradd -u 2001 -g 2000 -m -d /home/admin -s /bin/ksh admin

6. 콘솔모드로 리부팅 하기
$ halt

6.1 콘솔모드
OK boot -sv # 초기화
OK probe-scsi-all
OK boot cdrom # 시디롬 부팅
OK boot -rv # 부팅

7. 재부팅
$ reboot -- -r

7.1 안전 리부팅
$ sync; sync; sync; init 0

8. 깔린 패키지 보기
$ /opt/pkginfo | grep java

9. 프롬프트 바꾸기(경로 보이기)
#csh쉘일 경우
$ vi ~/.cshrc
set prompt="`hostname`:`pwd`] "
alias setprompt 'set prompt="`hostname`:`pwd`] "'
#ksh쉘일 경우
$vi ~/.profile
PS1='HONGSU2:${PWD}> '; export PS1

10. 하드디스크 파티션 정보 보기
$ format
>disk
>p(partition)
>p(print)
>exit(quit ?)
설명: backup을 제외한 번호에 값이 있으면 해당 partition이 있는 것임.
마운트 하려면 mount /dev/rdsk/c0t3??s0 /mnt/any
s0는 부트 파티션
s6, s7는 유저 파티션

11. 시디롬 마운트
$ mount -f hsfs -o ro /dev/sr0 /mnt/cdrom # 시디롬 강제 마운트
$ volcheck # 플로피 마운트 보기
$ df -k # 자동 마운트 된 것 보기
$ mkdir -p /cdrom/unnamed_cdrom
$ mount -F hsfs -o ro /dev/dsk/c0t6d0s2 /cdrom/unnamed_cdrom
$ eject # 꺼내기

11.1 자동 마운트 파일
$ vi /etc/mnttab

12. 콘솔과 단말기
명령어가 먹는 것은 같으나, 단말기의 명령어 실행 진행 상황이 콘솔에 나타난다.
단말기에서 ifconfig가 먹는다.

13. 지나간 명령어 보기
- ESC 두번 누르고 k 로 보기
- 몇글자 치고 ESC

14. 새 하드디스크 올리기
$ format # 새 디스크를 찾는다.
$ newfs # 올리고
$ fsck # 적용한다.
------------------------------------------------------------------

*. 시스템정지와 재부팅

halt -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kill 하고 OS를 정지시키면 disk를 Synd하고 boot PROM monitor 프롬프트에서 정지한다.

fasthalt - halt 명령어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나 이과정은 fasthalt 명령어를 수행할때
/ disk 에 fastboot file을 생성하여 시스템이 Rebooting될때
/etc/rc, /etc/rc,boot 라일의 수행시 disk check(fsck)를 하지않고 booting이 된다.

reboot - halt 명령어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나 시스템이 boot PROM monitor 프롬프트 상태에서
정지해 있지 않고 다시 Rebooting이 된다.

fastboot - reboot 명령어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나 시스템이 Rebooting 될때 disk check(fsck)를 하지 않고 booting이 된다.

shutdown - System을 사용하고있는 User들에게 주어진 시간안에 Shutdown된다는 Message를 보내고 Shutdown한다.


*. sync의 필요성

sync는 super block 및 block에 operation을 행하여 그 내용이 변한 것 중에
disk에 저장되지 못한 block들을 write 시키도록 하는 명령이다.
sync를 하지 않고 전원을 끈 경우, boot 시에 file system check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Booting and Halting

- Booting

일반적인 부팅
OK boot

시디롬 부팅
OK boot cdrom
예제)
# repeat 10 sync; init 0
OK boot cdrom




새로운 SCSI Adepter 부팅
OK boot -r

- Halting

# repeat 10 sync
# init 0

'배움생활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 지정 관련 2  (0) 2006.03.09
사용자 지정 관련  (0) 2006.03.09
char type  (0) 2006.02.13
자우르스에서 개발환경구축  (0) 2006.01.31
make (5)  (0) 2006.01.23


 
     
- Home
- Guestbook
- Manage - Location
- Tag -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