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굳이 7X0사용자가 아닌 모든 자우르스에서 적용되리라 생각됩니다.
보통의 모든 리눅스 머신에서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스왑에 관련하여 특히 700은 메모리부족에 허덕이기에 스왑은 필수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강좌나 팁이 스왑파일로 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스왑파일보다는 스왑파티션이 더 빠르고 안정적이라는 생각에
스왑 파티션을 만들어 봤습니다. 제 느낌으로도 스왑파일일 때보다
파티션일때 다운되거나 메모리 부족메시지가 더 줄었습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다음과 같은 작업공정으로 진행해보겠습니다.
먼저 SD메모리에 스왑파티션을 잡는것을 기본으로 하겠습니다.
1. fdisk를 이용한 SD메모리 파티션 분할(스왑 영역과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영역 분할)
2. 스왑파티션 만들기 및 활성화
3. 데이터 저장공간 파일시스템 만들기 및 쓰기 권한 설정
4. fstab 변경
5. SD카드 삽입및 분리시 자동 스왑 활성화 및 off시키기
----------------------------------------------------------------------------------
1. fdisk를 이용한 SD메모리 파티션 분할(스왑 영역과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영역 분할)
fdisk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fdisk에 관한 약간의 사용법을 알고 있다 전제하겠습니다.
#fdisk /dev/mmcda 로 fdisk를 실행합니다.
기존의 파티션이 있다면 전부 삭제해 주시고 간단히 2개의 파티션을 만들어줍니다.
첫번째 파티션(/dev/mmcda1)은 데이터 저장공간을 위한 파티션이고
두번째 파티션(/dev/mmcda2)은 스왑 파티션으로 잡는데 용량은 저는 32M로 잡았습니다.
물론 t 명령으로 플래그를 82번 스왑으로 해주셔야 합니다.
2. 스왑파티션 만들기 및 활성화
이제 구획이 나누어졌습니다. 그럼 먼저 스왑파티션을 본격적으로 만들어 봅니다.
#mkswap -c /dev/mmcda2
이렇게 스왑파티션을 포맷하고서 이제 시스템이 쓸수 있도록 활성화합니다.
#swapon /dev/mmcda2
이제 스왑파티션이 작동하고 있습니다. 확인해 봅시다.
#free
Mem: 29736 28988 748
Swap: 31228 792 30436
Total: 60964 29772 31194
이런 식으로 스왑메모리가 잡혔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저장공간 파일시스템 만들기 및 쓰기 권한 설정
아직 SD의 나머지 공간이 비어있습니다. 구획만 나누었지 포맷이 되어 있지 않으니
이제 그곳을 포맷하고 쓰기 권한을 설정합시다.
보통 ext2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니까
#mkfs.ext2 -c /dev/mmcda1
그럼 ext2파일시스템으로 포맷이 되는데 pc와 네트웍으로 연결해보면
수퍼유저를 제외하고 쓰기가 불가능하고 읽기전용으로 되어있을 것입니다.
다음과 같이 권한을 변경합니다
#chmod -R ugo+w /mnt/card
#chmod -R ugo+w /mnt/card/*
변경되었는 확인합니다
#ls -al /mnt/card/
drwxrwxrwx 5 root root ........................
^--- 이런식으로 나오면 됩니다
4. fstab 변경
이 작업은 자우르스에서 필요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일반의
리눅스 머신에서는 반드시 하는 작업이기에 변경한 파티션 정보를 입력합니다.
#vi /etc/fstab 해서 다음과 같은 줄을 추가해줍니다
/dev/mmcda1 /mnt/card auto noauto,owner 0 0
/dev/mmcda2 swap swap defaults 0 0
편집을 끝내고
#mount -a
5. SD카드 삽입및 분리시 자동 스왑 활성화 및 off시키기
지금까지의 작업은 SD메모리에서 진행된것이기 때문에 리부팅시
스왑이 활성화가 되지 않습니다. 솔직히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분명 fstab에서 부팅시 활성화를 하게 해야 하는데 아마도 이동식
저장메모리라는 이유인지 fstab 작동후에 SD가 마운트 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만....... 아무튼
부팅해보면 스왑이 비활성상태가 됩니다.
그럼다시 매번 #swapon 명령으로 활성하기란 귀찮겠지요
그럼 /etc/sdcontrol을 편집해서 insert와 reject시 swapon와
swapoff 를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스크립트를 고쳐봅시다.
#vi /etc/sdcontrol 하면 몇줄을 내려가면
"insert')
라는 항목이 나오는데 첫번째 if문 끝줄에
swapon /dev/mmcda2 를 입력합니다.
'eject')
라는 항목의 첫번째 if문 끝줄 else 전에
swapoff /dev/mmcda2 를 입력합니다.
그럼 이제 SD아이콘을 클릭하여 분리후 다시 삽입해 봅시다.
그리고 터미널에서
#free 명령어로 스왑이 활성되었는지를 확인해 봅니다.
------------------------------------------------------------------------------
4일전 처음 자우르스를 접한 초보자가 이렇게 사용 팁을 올리니 조금 쑥스럽습니다.
아무튼 PC 리눅스머신과 다를것 없다는 생각에 오랜시간 먼지가 앉아있던
러닝 리눅스를 찾아가며 시도해 봤습니다.
앞서 밝힌것처럼 제 느낌에는 스왑 파일보다는 훨씬 안정적이라는 느낌을 받아서
이렇게 정리해 봤습니다.
혹시나 정정할 부분이나 질문의 답글 환영합니다.
|